-
-
-
2002-04-02 조회수:4416치아의 법랑질은 인체의 모든 구조물 중 가장 단단하다. 하지만 충치가 감기처럼 흔한 질환으로 꼽히는 것은 왜일까. 산을 좋아하는 유산간균이라는 이름의 입안 세균이 주범이다. 이 균은 식사 후 잇몸에 붙은 당분이나 전분 찌꺼기를 먹어치우며 식초산을 배설한다. 침을 산성화하는 것이다. 법랑질을 부식시키는 것은 세균이 아니라 바로 산성화한 침이다.
상어는 이가 망가지면 계속해 새로운 이가 돋아난다고 한다. 사람도 죽을 때까지 썩은 이를 계속 대체하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인간에겐 이를 갈 수 있는 단 한번의 기회만 주어졌을 뿐이다. ......
-
-
-
-
2002-02-04 조회수:4492이가 빠져서 고생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평소에 좀더 치아 관리를 잘할걸...’하며 후회를 하게 된다. 이를 빼고 난 후에 일들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 두개의 이가 빠진 경우 멀쩡한 옆의 치아를 갈아낸 후 본을 떠서 브리지 형태의 보철물을 끼우게 된다. 빠진 이 때문에 아무 죄 없는 치아를 시리도록 갈아내야 하고 결국 그 치아의 수명마저 단축시키게 된다. 다수의 이가 빠진 경우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노화의 상징 틀니를 끼워야 하기 때문이다. 불편한 것은 둘째치고 나름대로 젊게 산다고 했지...
-
-
-
2001-06-16 조회수:3262어금니의 뼈가 충분하지 않아도 뼈이식없이 인공치아를 심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됐다.
양윤석 블루밍치과 원장은 최근 상악동 이라고 하는 입속 공기주머니의 안쪽 뼈를 특수촬영을 통해 분석한 후 이 안쪽 뼈의 길을 따라 임플란트 를 심는 시술법을 시행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